본문 바로가기

여러가지

인공지능에 대한 짤막글

반응형

얼마 전, 1월 25일 새벽 AI는 또 한 번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바둑에서 커제를 비롯한 최정상 고수들을 꺾은 구글 딥마인드가 게임에도 도전하게 된 것이죠. 

전략, 파악, 전술등 많은 부분들을 신경쓰며 해야하는 리얼 타임 시뮬레이션 장르인 스타크래프트2에 도전하게 된 것입니다.


알파스타(AlphaStar)라고 이름 붙인 이 AI는 이렇게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1. 기본적인 프로토스 플레이를 잘게 쪼갠다. (광물 캐기, 건물 짓기, 생산 하기 등등 스타를 하면서 기본이되는 행동들)

2. 어느 정도 학습이 완성되면, AI끼리 대전을 시킨다.


결과는 리플레이에서는 10:0으로 알파스타의 승 라이브 매치에서는 시야를 제한하고 하여 인간의 1:0 승리로 끝이 났습니다.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게임)의 안드로이드 클로이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경기를 기점으로 A.I에 대한 관심은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2017년 대선에서는 상위 3후보 모두 4차 산업 혁명을 이야기하며, 미래 지식 산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죠.


오늘은 A.I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人工知能 / Artificial Intelligence; A.I.


인공지능은 인간이 지닌 지적 능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입니다. 개념과 용어 자체는 1950년부터 제시가 되어 왔습니다. 놀랍게도 컴퓨터가 만들어지기도 전이지요. 컴퓨터의 기본 개념을 제시한 앨런 튜링의 '생각하는 기계'의 구현 가능성과 튜링 테스트를 제안한 시기가 1950년이라고 하네요.


AI 산업은 사람들의 관심과 노력속에 발전하여, 1980년에는 약 10억불의 시장을 형상할 정도로 발전합니다.


일반 사람들은 보통 영화에서 인공지능을 만나게 됩니다. 꽤 이전부터 많은 SF 영화들이 인공지능을 다루어 왔습니다.

시작은 로봇과 미래 문명에 대한 내용은 1930년대부터 꾸준히 영화로 만들어져 오다가, 1980년대 블레이드 러너라는 공전의 작품이 탄생하며 사람들은 인공지능과 미래 사회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니어 오토마타의 2Bex machina의 에이바



AI가 전 세계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큰 충격을 준 사건은 체스에서 이긴 딥 블루이겠지만, 한국에서는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결이 충격적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약인공지능, 강인공지능, 그리고 머신 러닝


약한 인공지능은 인간은 쉽게 할 수 있으나, 컴퓨터로는 어려웠던 일들의 처리를 수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물건 들기, 사진 찾기, 소리 방향 찾기등 사람의 행동중 특정 1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표인 인공지능입니다. 

제한된 범위 안에서의 문제만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죠. 

다만, 신체적인 제한이 없기 때문에 이런 1가지 문제 해결이 엄청나게 효과적으로 이용됩니다.


강한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성을 컴퓨터의 정보처리능력으로 구현한 시스템입니다. 

위에 예시를 든 사고를 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들은 강인공지능이죠. 

강인공지능은 현재까지 세상에 구현된 적이 없을 뿐더러 아직 개념조차도 모호합니다. 

마음이란 무엇인가? 생각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지식으로도 아직 명확하게 정의 내려지지 않은 내용이 구현되어야 하니깐요.


아직 먼 길이 남았다고 생각되는 강한 인공지능보다는 조금 더 우리 생활에 가까운 약한 인공지능에 대해 더 알아보겠습니다. (앞으로는 그냥 인공지능)


아이폰의 시리, 카카오미니의 처리 기술, 삼성전자의 S 보이스등은 인간의 구체적이지 않은 명령을 인간보다 더 해석해서 원하는 결과값을 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 과정에서 기계학습(MachineLearning)기술이 활용됩니다.


기계학습은 컴퓨터를 인간처럼 학습시켜 스스로 규칙을 형성하는 기술입니다. 알파고를 예로 들면 처음에는 인간의 기보 수만~수십만개를 입력하고 개별적인 승리 확률을 계산하여 바둑을 두었지요. 하지만 이세돌과 맞붙은 알파고는 기본 학습을 마치면, 알파고끼리 바둑을 두게됩니다. 그리고 학습을 시키면 시킬수록 더욱 정교한 실력을 가진 알파고가 나오게 되는 것이지요.




지식 산업 시대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달라지는 시대를 함께 걸어가려는 노력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